김상훈 의원, 국세청 주류품목별 반출·수입량 자료 분석

지난해 성인 한 명이 한 해 동안 마신 소주는 평균 52.9병(360㎖ 기준), 맥주는 82.9병(500㎖ 기준)으로 나타났다.
국민의힘 김상훈 의원(대구 서구)이 지난 20일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‘최근 5년간 주류품목별 반출량 및 수입량’ 자료를 분석한 결과 소주, 맥주의 반출량 및 수입량은 소주 22억9000만 병, 맥주 35억9000만 병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.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어지면서 지난해 주류 반출량 및 수입량은 모두 줄어들었다.
소주·맥주 반출량은 국내 제조장에서 출고된 양으로 재고 회전이 빠른 주류 특성상 소비량과 유사하다. 지난해 국내 제조장에서 반출된 소주량은 82만5848㎘, 맥주는 수입분 25만5264㎘을 포함해 179만4232㎘인 것으로 나타났다.
최근 5년간 주류품목별 반출량 및 수입량 추이를 살펴보면 소주(희석식소주)의 경우 2017년 94만5860㎘에서 2021년 82만5848㎘로, 맥주의 경우 국내분과 수입분을 합쳐 2017년 215만3052kl에서 2021년 179만4232kl로 각각 12.7% 16.7% 감소했다. 막걸리 역시 2017년 40만9407㎘에서 2021년 36만3132㎘로 줄었다.
일부 주류 수입량도 감소했다. 위스키는 2017년 1만5227㎘에서 2021년 1만1585㎘로 23.9%, 일본식 사케 품목인 청주는 6525㎘에서 3113㎘로 5년 사이에 절반 이상 급감했다.
반면 와인의 경우 수입량이 2017년 3만6517㎘에서 지난해 7만6881㎘로 110.5% 증가해 두 배 이상 늘었다.
김 의원은 “코로나19 사태 이전부터 주요 주류 반출 및 수입량이 전반적으로 줄어드는 추세”라며 “회식과 모임 문화, 주류 소비패턴이 바뀌면서 나타나는 현상인 것 같다”고 설명했다. 이어 “세계보건기구(WHO)에서 음주가 200가지 이상의 질병의 주요 원인이며 매년 3300만 명이 음주로 사망한다고 추정하고 있는 만큼 정부는 지속적인 주류 소비 관리 및 예방 정책을 펴야 한다”고 주장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