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최근 소상공인의 87%가 대출금으로 인해 경영이 힘들며 42%는 연매출이 1억2000만 원 미만이었다.
소상공인연합회(회장 오세희)는 지난 8일부터 14일까지 ‘소상공인 금융실태조사’를 진행했다. 모두 1345명이 참여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87.6%가 “현재 대출금 상환으로 힘들다”고 답했다.
장기화된 경기 악화로 부채가 증가하고 기준금리가 급격하게 인상돼 금융비용이 대폭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.
응답자의 59.7%가 지난해 대비 대출 잔액이 늘었다고 응답했다. 소상공인 바라는 정부의 지원은 비용 부담을 낮출 수 있도록 ‘소상공인 금리우대를 통한 이자비용 절감’이 가장 필요하다고 꼽았다.
경영환경 전망 71.5% “악화될 것”
금융비용 부담이 큰 상황에서 이를 감당할 만큼 매출과 영업이익이 나오지 않고 있다. 올해 상반기 월평균 매출액은 ‘500만 원 미만’이 32.6%로 가장 많았다. ‘500만 원~1000만 원’이 19.4%이었다. 이처럼 소상공인 52%가 연매출이 1억2000만 원 미만이었다.
소상공인들은 장기화된 복합위기 속에 매출이 낮은 상황에서 전기료·가스비 등 공공요금 인상,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지출 증가 등으로 경영 실적이 악화되자 사업을 유지하기 위해 대출을 많이 늘였다.
올해 대비 내년 경영환경 전망에 대해서는 71.5%가 ‘악화될 것’(매우악화+다소악화)이라고 답했다. 개선될 것(매우개선+다소개선) 7.8%에 머물렀다.

가장 절실한 금융정책은 ‘금리우대 및 분할납부’
사업자금 조달 목적으로 대출을 받은 경험을 묻는 질문에 89.6%가 있다고 답했다. 코로나 피해지원을 위한 정부의 정책자금대출은 78.4%가 지원 받았다.
정부 정책 자금에 대한 대출 잔액은 ‘1000만 원 ~ 3000만 원 미만’이 29.0%로 가장 많았다. 이어 ‘3000만 원 ~ 5000만 원 미만’ 27.7%, ‘5000만 원 ~ 1억 원 미만’이 26.1%로 각각 나타났다.
민간 금융자금 대출은 ‘3000만 원 ~ 5000만 원 미만’이 25.1%로 가장 가장 많았다. 이어 ‘5000만 원 ~ 1억 미만’ 23.4%, ‘3000만 원 미만’이 23.4%이었다.
대출 관련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‘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부담 증가’가 45.9%로 1위를 차지했다. 이어 ‘대출한도 제한에 다른 추가대출 불가’ 31.3%, ‘복잡한 대출 절차 및 구비서류’ 8.8%의 순이었다. 이와 함께 ‘만기도래’ 7.1%, 연체로 인한 상환 독촉도 3.3%였다.

금융정책 중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 ‘소상공인 금리우대를 통한 이자절감’을 꼽은 응답자가 51.7%로 가장 많았다. ‘대출원금에 대한 장기 분할납부(10~20년 이상) 시행’이 45.9%이었다.
차남수 소상공인연합회 정책홍보본부장은 “올해 3월말 기준 소상공인 대출총액은 1034조 원에 달하는 데 반해 정부의 만기연장과 상환유예 지원을 받고 있는 여신은 85조3000억 원으로 전체 대출의 8.25%에 그치고 있다”며 “소상공인의 금융비용이 급증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려면 저금리 대출 확대 및 만기연장·상환유예 등 금융지원대상을 전체 자영업자 대출 등으로 폭넓게 확대해야 한다”고 강조했다.
▣ 식품외식경제 정기구독 신청 02-443-4363
https://smartstore.naver.com/foodbank_4363/products/6521133776